전체 글 9

케이뱅크 아파트 주담대 (주택담보대출) 이용 후기 #2

첫번째 후기에 이어서 그 다음 프로세스에 대해 공유합니다. 케이뱅크 주담대 신청하고, 심사 결과에 따라 내가 최대로 빌릴 수 있는 금액, 이자가 조회됩니다. 심사 결과를 기반으로 대출 신청자는 자신이 얼마를 빌릴 건지, 어떤 조건으로 대출 진행할 것인지 등에 대해 최종 확정하는 단계를 밟습니다. 약정 화면에는 아래와 같이, 내가 담보로 잡은 물건, 대출 조건, 약정 금액, 상환방식, 근저당권 금액 등의 정보가 나오고, 부부 공동 명의일 경우에는, 공동명의자의 동의도 별도로 필요합니다. 이전에도 이야기 했듯이, 약정시에 조회되는 금리는 최종이 아닙니다. 대출 실행되는 날의 대출 이자를 기반으로 최종 대출 이자가 확정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약정당시만 해도 3.7% 대의 대출 이자로 조회되었으나, 대출..

투자 2025.05.06

케이뱅크 아파트 주담대(주택담보대출) 이용 후기 #1

2023년 아파트를 매매하면서 이사를 했다. 이과정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실행했고, 어떤 은행으로 할지 많은 고민을 하다가 결국 케이뱅크로 주담대 대출을 진행했다. 결론적으로는 굉장히 만족하고, 프로세스적으로도 훨씬 편했다. 다음 기회가 있다고 하더라도 인터넷뱅크의 주담대를 진행할 것이다. 하지만 처음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는 상황에서는 섣불리 인터넷뱅크의 주담대 상품을 활용한다고 결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인터넷뱅크는 일반 시중은행보다 확실히 낮은 이자를 제공한다. 그래서 대출을 실행하려고 알아보는 입장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가지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인터넷뱅크는 말그대로 앱으로만 은행과 커뮤니케이션해야 하다 보니, 이렇게 큰돈을 대출하는데 사람과 대면으로 한번도 보지 않고 진행해도 될까?라는 불..

투자 2025.05.06

카이스트 직장인 MBA 지원 후기: 면접 준비

MBA에 지원하는 과정에서 면접은 굉장히 중요한 프로세스이다. 최근 52시간 근무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아니 강제로 집행되기 시작하면서, 52시간을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지키는 회사의 직원들은 퇴근 이후 자기계발의 일환으로 직장인 야간 MBA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직장인 MBA 면접 이야기를 하면서 갑자기 52시간 근무를 이야기하는 이유는, 그만큼 지원 경쟁률이 세졌다는 것이다. 국내 MBA에 지원하는 사람이 많아진 만큼, 선발 과정에서 괜찮은 재원들을 많이 떨어뜨려야 했던 교수님들의 아쉬운 사정을 많이 들었다. 확실히 예전보다 지원하는 인재풀의 퀄리티가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서류를 통과하고 나면 그만큼 면접 준비를 열심히 해야 한다. MBA면접에 대해 항목별로 내..

MBA, 대학원 2021.10.15

카이스트 기술경영 대학원 합격후기 #3 : 지원자의 자질

제출 서류 중 지원자의 자질에 대해 묻는 질문이 있었다. 카이스트는 경영대학원이건 기술경영대학원 이건 지원자에게 자신의 자질에 대해 공통적으로 묻는 것 같다. 카이스트 MBA 때도 어떠한 자질을 갖추었는가에 대해 질문을 받았었다. 지원 당시 내가 썼던 나의 자질이다. 현재 지원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예시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귀하의 중요한 자질 세가지에 대하여 기술하십시오새로움에 대한 도전의식현실에 안주하기 보다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도전의식이 저의 중요한 자질이자 장점입니다. 평소 새로운 것에 도전해 보고 싶은 ..

MBA, 대학원 2021.10.02

카이스트 기술경영 대학원 합격 후기 #2 : 왜 지원하는가?

카이스트 기술 경영 대학원에 제출했던 에세이를 기준으로 당시에 왜 지원했었는지, 당시에 어떠한 커리어를 생각하고 있었는지 다시 볼 수 있을 것 같다. 합격 이후 지원하지 않기로 최종 결심하긴 하였으나, 지금 생각해보면 그 당시 그대로 진학했었어도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당시 과정을 보면 14년 전기 과정에 지원을 했었고 지원 프로세스는 13년 말에 진행되었다. 회사를 다니면서 준비했었기 때문에 퇴근 후 혹은 주말에 틈틈히 지원 서류를 작성했던 기억이 난다. 그당시 내가 왜 기술경영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게 되었는지 당시 내가 작성했던 지원서류를 보면 어느 정도 다시 떠오른다. -------------------------------------------------------------..

MBA, 대학원 2021.10.02

카이스트 기술경영 대학원 합격 후기#1

개인적으로 30대초부터 중반까지는 진로에 대해 고민이 굉장히 많았었다. 취직이후 3-4년 지난 이후로는 학교에서 더 공부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그 중 관심이 있던 프로그램이 기술경영대학원이었고, 2014년 카이스트 기술경영대학원 전일제 과정에 장학생으로 합격하였다. 결과적으로 회사에 더 남기로 결정하여 진학은 하지 않았었다. 예전 일이지만 그때의 고민과 지원과정, 합격 후기를 공유하고자 한다. 기술경영을 생각한 이유나는 이공대 출신에 회사는 대기업 계열사의 해외영업으로 일하던 차였다. 2014년 즈음이었다. 직장생활 3-4년차부터 다른 무언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이 조금 더 공부를 하는 것이었고 내 전공과 커리어를 잘 엮어줄 수 있는 분야가 기술 경영이라고 생각했다. 이공대 학부에 기술경영 전공..

MBA, 대학원 2021.10.01

카이스트 직장인 MBA 지원할까? : MBA 학교생활

지원 후 합격을 하고 나면 본격 학교 생활시작이다. 예전 학부다닐때 생각이 새록새록 나면서 옛날생각도 많이 나고 새로운 사람들과 관계를 맺기에 바쁘다. 학교 생활 관련 자주 받는 질문을 올려 본다. 일주일에 몇번이나 학교에 가나요? 내가 다니던 KAIST는 일주일 두번 수업이었다 한 학기에 두과목씩 듣는데 한과목에 하루씩 예를 들면 화목 이렇게 주중 두번 출석이었다. 학교별 차이가 있다면 카이스트는 총 과정이 3년이라 한학기에 두과목씩 일주일 두번 출석을 하지만 과정이2년에 마치는 다른 학교들은 일주일에 3번 이상 간다고 들었다. 내가 카이스트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도 일주일 두번 수업이었다. 회사를 다니면서 일주일 세번 수업을 빼는 건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아 기간은 길지만 3년 간 다니기로 마음 먹었..

MBA, 대학원 2021.09.29

카이스트 직장인 MBA 지원할까? : MBA 지원 준비

몇 년 전 직장인으로서 야간 MBA를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에 대한 고민이 깊었던 적이 있었다. 몇 달 동안 지원을 할까 말까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네이버나 다음 관련 카페를 돌아다녔던 기억이 있다. 한동안 답을 못 내렸던 이유 중에 하나는 주위의 친구들은 하나같이 말렸기 때문이다. 주요 레파토리는 요즘 MBA 안쳐준다.. 학위 사러 가냐.. 시간 낭비다.. 그시간에 재테크를 해라... 등등셀수 없는 반대이유들 대면서.. MBA 졸업을 앞둔 지금 시점에서 그때의 일도 추억이지만, 그 때 내가 고민했던 것들을 지금하고 있을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그 당시 궁금했던 질문들에 대해 기경험자로 답변을 달아 보았다. 직장인 신분으로 다니는 야간 MBA 추천하나요? 절대적으로 추천합니다. 학위를 받기..

MBA, 대학원 2021.09.27

국내 MBA 필요할까? 개인생각

국내MBA가 과연 필요할까에 대한 고민을 많은 직장인들이 해보았을 것이다. 사실 가치판단에 대한 부분이라 무엇이 맞다라는 답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어떤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람인지에 따라 어느정도 해답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경험”을 중요시 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해볼만 하다고 과감히 이야기할 수 있다. 사실 금전적인 측면만 계산했을 때, 내가 학비를 낸 만큼 연봉이 오를 수 있을까 계산했을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MBA학위가 있다고 해서 연봉이나 직급이 오르는 것은 해외 탑MBA 제외 하고는 이제는 거의 없는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험”을 중요시하는 사람에게는 추천한다. 몇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 생각의 틀: 각 과목에서 배우는 최신 트렌드와 이론과는 별개로 과정을 이수하..

MBA, 대학원 2021.09.25